티스토리 뷰

반응형

 

주방 싱크대에서 올라오는 역한 냄새, 하수구를 청소해도 며칠 지나면 다시 올라온다. 원인은 단순한 오염이 아니라 구조적 문제일 수도 있다. 오늘은 싱크대 냄새 역류의 원인과 해결법을 현실적으로 정리한다.

 

 


1. 배수트랩의 물이 마른 경우

싱크대 하단에는 ‘배수트랩’이라는 U자형 배관이 있다. 여기에 항상 일정량의 물이 차 있어야 냄새를 차단하는데, 장기간 사용하지 않거나 공기 순환이 많으면 물이 증발한다. 물이 마르면 하수 냄새가 그대로 역류한다.

  • 일주일에 한 번은 싱크대에 물을 2~3분 흘려보내기
  • 건조한 날엔 컵 물 한 잔 정도 보충해두기

2. 고무패킹(트랩캡) 손상

싱크대 하단 배관과 배수구 사이에는 고무패킹이 있다. 오래되면 틈이 생기거나 헐거워져 냄새가 새어나온다. 싱크대 밑장을 열어보면 쉽게 확인 가능하다. 고무패킹만 새 걸로 교체해도 냄새가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


 

3. 배수구 안 지방 찌꺼기

음식물기름이 배수구 안쪽에 굳으면 악취가 심해진다. 주기적으로 뜨거운 물 + 베이킹소다 + 식초를 부어 세척하면 좋다. 완전히 굳은 경우엔 배수구 청소 솔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끓는 물 1L + 베이킹소다 3큰술 + 식초 반컵
  • 5분 후 물로 헹구기

4. 하수 배관의 기밀 불량

오래된 아파트나 주택은 배관 연결부가 느슨해 냄새가 새기도 한다. 이 경우 실리콘이나 배관 전용 테이프로 틈새를 막아야 한다. 냄새가 지속된다면 배관 내부 청소 서비스를 부르는 것도 방법이다.


5. 임시방편보다 근본 해결

방향제나 탈취제는 일시적인 효과뿐이다. 악취의 원인을 제거해야만 근본적으로 해결된다. 싱크대 하단을 한 달에 한 번 점검하는 습관을 들이면 냄새 스트레스에서 완전히 해방될 수 있다.


마무리

싱크대 냄새는 작은 틈새 하나에서 시작된다. 배수트랩, 고무패킹, 배관청소 — 이 세 가지만 주기적으로 관리하면 집 안 공기가 확 달라진다. 하수구 냄새 없는 주방, 생각보다 간단히 만들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