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밥상에서 김치가 빠진다는 건 상상하기 어렵죠. 밥상 한켠에 조용히 놓여 있어도, 그 존재감은 압도적입니다. 오늘은 우리가 너무도 당연하게 먹고 있는 김치의 역사와 종류를 한번 정리해보려 합니다. 알고 보면 김치는 단순한 반찬이 아니라 천 년 넘게 이어진 발효 과학이에요. 1. 김치의 시작 — 고대의 저장식에서 발효식품으로김치의 원형은 ‘채소 절임’에서 출발했습니다. 삼국시대 문헌인 『삼국사기』에도 ‘침채(沈菜)’라는 표현이 등장하는데, 이게 바로 오늘날 김치의 어원이에요. 그때의 김치는 지금처럼 고춧가루가 들어간 붉은색이 아니었습니다. 소금이나 간장, 젓갈로 절인 흰 김치 형태였죠.고춧가루가 김치에 들어가기 시작한 건 16세기 후반, 즉 임진왜란 이후 고추가 한반도에 전래된 시기입니다. 그때부터..
오늘의이슈
2025. 10. 14. 21:19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김혜경생가
- 에이펙정상회의
- 스타인웨이
- 이혁
- 난방텐트
- 악기교육
- 생가복원추진위원해
- 삼성전자
- 한국미사일전략
- apec정상회담
- 피아노
- 성조숙증
- 영화하이재킹
- 시진핑회담
- 치맥외교
- 청소년오케스트라
- 옛날비행기
- 알뜰폰요금제
- 이재명생가
- 서울자가사는김부장
- 명절증후군
- 첼로입문
- 경주여행
- 성조숙증예방
- 예원학교
- 절임배추
- 알뜰폰
- 쇼팽콩쿠르
- 전기장판
- 조성진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글 보관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