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첼로를 배우다 보면 자연스럽게 “무대에 서보고 싶다”는 마음이 생긴다. 연습만으로는 얻을 수 없는 경험이 있고, 콩쿨이나 오케스트라는 아이에게 특별한 성장의 순간을 만들어준다. 초등 2학년이면 아직 어린 나이지만, 음악적으로 가장 빠르게 습득하고 흡수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래서 2학년부터 가볍게 콩쿨을 경험해보고, 가능하다면 롯데키즈오케스트라 같은 대규모 오케스트라에도 도전해볼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초2 아이가 현실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첼로 콩쿨 로드맵, 그리고 롯데키즈오케스트라 오디션이 어떤 흐름으로 진행되는지 구체적으로 정리해본다.

1. 초등 2학년, 콩쿨을 시작하기 좋은 이유
많은 부모들이 “2학년이면 너무 이른 거 아닌가?”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이 시기가 무대 경험을 쌓기에 가장 좋은 시기다.
- 손 힘·활 제어력이 안정되는 시기 — 기본 보잉이 잡히기 시작한다.
- 리듬·박자 이해도 상승 — 반주 맞추기, 템포 유지가 가능해진다.
- 음악적 흥미가 크게 올라오는 시기 — ‘무대’가 동기부여가 된다.
- 입문용 콩쿨이 다양 — 저학년 참가자가 많아 심리적 부담이 낮다.
콩쿨의 목적은 “입상”이 아니라 무대를 한 번이라도 경험해보면서 자신감을 키우는 것이라는 점을 잊지 않아야 한다.
2. 어떤 콩쿨부터 나가면 좋을까?
① 시·구 단위 음악콩쿠르
규모도 적당하고 심사도 비교적 안정적이다. 연령대도 다양해 2학년이 참가하기에 부담이 적다.
② 교육원·학원 콩쿨
무대 경험을 쌓기에 가장 편한 구조. 반주 없이 치는 경우도 있어 첫 무대로 매우 적합하다.
③ 시티음악콩쿠르
어린 참가자 비중이 높고, 수준 대비 부담이 적어 “첫 콩쿨”로 추천되는 경우가 많다.
중요한 것은 “레벨을 올리는 것보다, 아이가 편하게 무대에 설 수 있는 환경을 선택하는 것”이다.
3. 초2 콩쿨 곡 선정 기준
- 너무 무거운 곡 금지 — 브레발 전악장, 난이도 높은 소나타는 아직 이르다.
- 선명한 멜로디 위주 — 스즈키 2~3권, 짧은 단악장 곡이 안정적.
- 활이 흔들리지 않는 곡 — 음정보다 보잉 안정이 더 중요한 시기.
- 반주하면 더 살아나는 곡 — 아이가 반주에 따라 흐름을 탈 수 있는 곡 선택.
심사위원은 이 시기 아이들에게 톤, 태도, 기본기를 본다. 고난도 테크닉보다 안정적인 활과 정확한 박자를 더 높이 평가한다.
4. 현실적인 콩쿨 준비 루틴 (6주 플랜)
📌 6주 전 – 곡 선정 + 프레이징 설계
멜로디 흐름, 활 방향, 템포를 전체적으로 잡는다.
📌 4주 전 – 보잉 안정화
활이 흔들리면 콩쿨장에서 긴장했을 때 무조건 무너진다.
📌 2주 전 – 녹화 & 무대 시뮬레이션
아이 스스로 자신의 연주를 보는 게 가장 효과적이다.
📌 1주 전 – 반주 맞춰보기
반주는 “연주를 밀어주는 역할”이기 때문에 미리 맞춰보면 완성도가 올라간다.
📌 당일 – 입장·튜닝·인사
대부분의 어린 참가자들은 “연주 전 행동”에서 한 번 무너진다. 단정한 인사, 튜닝 확인만 잘해도 전체 인상이 달라진다.
5. 롯데키즈오케스트라, 2학년 도전 가능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충분히 가능하다. 평균적으로는 3~6학년이 많지만, 실제로 초2~초3에 합격한 사례도 여럿 있다.
중요한 기준은 학년이 아니라 다음 네 가지다.
- 음정 안정성 — 서툴러도 괜찮지만, “기초가 무너진 음정”은 감점.
- 보잉 흐름 — 활이 떠다니지 않고 일정하게 가는지.
- 박자 감각 — 오케스트라는 박자와 템포 감각이 핵심.
- 음색·태도 — 기본기, 자세, 연주 태도를 매우 중요하게 본다.
즉, “난이도 높은 곡”보다 기본기가 잘 잡힌 곡이 훨씬 유리하다.
6. 롯데키즈 준비 루틴
- 오디션곡은 스즈키 3~4권 또는 짧은 소나타 단악장이 적절
- 하루 10~15분 보잉 루틴 필수 (오케스트라의 기본은 활)
- 메트로놈 박자 연습 – 박자 감각은 곡보다 중요
- 유튜브로 오케스트라 곡 반복 청취 – 귀가 먼저 익어야 한다
- 연습 영상을 매주 한 번 촬영해 흐름 점검
이 루틴을 1~2개월만 유지해도 오디션 볼 정도의 기초는 충분히 잡힌다.
7. 마무리 – 2학년은 “가능성의 시작점”
초등 2학년은 기초가 가장 빨리 붙고, 무대가 주는 성장이 폭발적으로 나타나는 시기다. 콩쿨도, 오케스트라도 “도전 자체”가 아이에게 큰 자산이 된다.
중요한 건 ‘입상’이 아니라 아이의 성장을 가속시키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콩쿨로 무대 경험을 쌓고, 오케스트라로 음악적 체력을 키우면 3학년 이후 성장폭이 훨씬 크게 달라진다.
2학년이라서 이른 게 아니다. 지금이 바로 시작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다.
'첼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역대 우승자 중 지금 ‘세계에서 활약 중인 연주자들’ (0) | 2025.11.09 |
|---|---|
| 2025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첼로 부문 결선 리뷰 – 차세대 첼리스트들의 뜨거운 무대 (0) | 2025.11.09 |
| 청소년 오케스트라의 허와 실 – 부모의 눈으로 본 진짜 이야기 (0) | 2025.11.07 |
| 초등 1학년 딸의 도전곡, 브레발 소나타 (스즈키 첼로 4권) (0) | 2025.10.24 |
| 오케스트라에서 부모가 진짜 해야 하는 일 3가지 (0) | 2025.10.13 |
- Total
- Today
- Yesterday
- 알뜰폰
- 첼로콩쿠르준비
- 명절증후군
- 쇼팽콩쿠르
- 경주여행
- 첼로도전기
- 직장인부업
- 성조숙증
- 삼성전자
- 청소년오케스트라
- apec정상회담
- 단풍나들이
- 초1첼로
- 영화하이재킹
- 첼로입문
- 악기교육
- 옛날비행기
- 클라리네연주가
- 이혁
- 스타인웨이
- 전기장판
- 알뜰폰요금제
- 성조숙증예방
- 난방텐트
- 서울자가사는김부장
- 예원학교
- 조성진
- 절임배추
- 롯데키즈오케스트라
- 피아노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