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6

첼로 악기 관리법 (보관, 청소, 줄 관리) 첼로는 단순한 악기가 아니라, 매일 함께 시간을 보내는 소중한 존재예요. 아이가 첼로를 시작한 후, 하루하루 함께 지내며 느낀 건 “이 악기도 사람처럼 돌봐줘야 한다”는 거예요. 처음엔 단순히 악기만 잘 켜면 된다고 생각했는데, 관리가 소홀해지면 소리가 달라지고, 갑자기 줄이 끊어지거나 활이 휘기도 하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우리 아이와 함께 겪은 첼로 관리 경험을 바탕으로, 꼭 필요한 관리 팁들을 정리해보았어요. 처음 첼로를 시작하시는 분들, 또는 “이대로 관리해도 되나?” 고민이 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1. 보관이 반이다 – 온도, 습도, 위치에 민감한 첼로첼로는 나무로 만든 악기다 보니 온도와 습도에 매우 민감해요. 처음 악기를 들였을 때는 그냥 방 한켠에 세워두었는데, 어느 날 갑자기.. 2025. 9. 13.
한국의 대표 음악대학 비교 (한예종, 서울대, 이화여대) 우리 아이가 첼로를 시작하고 본격적으로 전공을 고민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국내 음악대학에 대한 정보들을 찾아보게 됐습니다. 음악을 전공하는 데 있어서 학교 선택은 단순히 “어디가 더 유명해?”라는 문제가 아니라, 앞으로의 연주 인생과 직결되는 진로 문제라는 점에서 무척 신중하게 다가갈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에서 대표적인 음악대학으로 손꼽히는 한예종, 서울대, 그리고 이화여대를 중심으로 각각의 특징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단순한 순위가 아닌, 실제 입시 환경과 교육 철학, 그리고 제 아이와 함께하며 느낀 현실적인 고민들도 함께 담아봤습니다.한예종 – 예술 실기 중심의 엘리트 시스템한예종은 정식 명칭이 ‘한국예술종합학교’로, 예고나 고등학교를 졸업한 이후 바로 입학하는 ‘예비학교’ 개념이 아.. 2025. 9. 13.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오케스트라 (베를린, 빈, 시카고) 클래식 음악을 좋아하게 된 이후, 저는 종종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의 연주를 찾아 듣곤 했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첼로를 배우기 시작한 후로는, 그런 연주가 단순한 감상을 넘어서 음악 공부의 일환처럼 느껴지기도 했어요. 아이와 함께 베를린 필하모닉의 공연 실황을 본 날, 그 완벽한 소리에 둘 다 숨을 죽였던 기억이 나요. 오늘은 개인적인 감상과 함께, 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고 완성도 높은 세 곳의 오케스트라—베를린 필하모닉, 빈 필하모닉,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에 대해 소개해보려고 합니다.베를린 필하모닉 – 기술과 감성을 완벽히 조화시킨 전설베를린 필하모닉은 클래식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세계 최정상급 오케스트라입니다. 1882년 창단 이후, 카라얀, 아바도, 사이먼 래틀 같은 .. 2025. 9. 12.
역사에 남은 첼리스트 3인 (요요마, 로스트로포비치, 뒤프레) 요즘 우리 아이는 첼로를 정말 즐겁게 배우고 있어요. 그런데 단순히 연주만 배우는 게 아니라, 자연스럽게 첼로 음악을 '듣는 즐거움'도 함께 익혀가고 있습니다. 특히 집에서 자주 듣는 첼리스트들의 연주를 들으며, 자신만의 '좋아하는 소리'를 찾는 과정도 하고 있어요. 그중에서도 아이가 유독 좋아하는 연주자는 요요마예요. "꼭 한번 만나보고 싶다"고 말할 만큼 깊은 애정을 갖고 있는 연주자죠. 오늘은 아이와 함께 들어온 유명 첼리스트 3인의 음악과 이야기, 그리고 우리가 그들에게서 느낀 감동을 기록해보려 합니다.요요마, 클래식과 대중을 연결한 살아 있는 전설요요마는 아마도 지금 살아 있는 첼리스트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이름일 거예요. 클래식 음악의 정수를 보여주면서도, 장르를 넘나들며 대중과의 벽을 허무는.. 2025. 9. 12.
음악 전공, 정말 미래가 불안할까? (진로, 유학, 현실) 아이가 첼로를 진지하게 배우기 시작한 뒤로, 머릿속에서 자주 떠오르는 말이 있어요. ‘음악 전공은 정말 현실적으로 불안한 걸까?’ 주변에서는 “재능 있어도 전공은 신중해야 해”, “전공하고 나서 뭐 할 건데?”라는 말을 많이 해요. 저도 엄마로서 그런 걱정이 왜 없는지요. 하지만 동시에, 요즘처럼 음악을 깊이 사랑하고 몰입하는 아이를 보며, ‘과연 이 길을 막는 게 맞을까?’라는 고민도 커져갑니다. 오늘은 음악 전공의 전망과 유학이라는 선택지, 그리고 부모로서 느끼는 솔직한 감정을 나눠보려고 해요.음악 전공, 정말 미래가 불안할까?솔직히 말하면, 음악 전공의 현실이 녹록하지 않다는 건 부정할 수 없어요. 전통적으로 클래식 전공은 졸업 후 진로가 연주자, 교사, 강사, 오케스트라 단원, 레슨 선생님 정도로.. 2025. 9. 12.
오케스트라에서 배운 건 연주만이 아니었어요 (동기부여, 롤모델, 부작용까지) 우리 아이는 첼로를 혼자 연습하던 시절보다, 오케스트라에 들어간 이후 훨씬 더 많이 성장했어요. 단순히 실력뿐 아니라 음악을 대하는 태도와 생각, 심지어 감정 표현까지도 달라졌습니다. 함께 연주한다는 것, 다른 사람의 소리를 들으며 나의 소리를 조율해 간다는 경험은 그 자체로 큰 자극이 되었어요. 오늘은 아이가 오케스트라에서 배우고 자라나는 모습을 담담히 적어보려 합니다.음악은 혼자 하는 게 아니라는 걸 처음 느꼈어요처음 첼로를 시작했을 때만 해도 아이는 조용히, 그리고 외롭게 연습했어요. 레슨을 받는 시간 외엔 혼자 방 안에 들어가 악보를 보고, 스스로 소리를 익히고, 때로는 실패하고 실망하고, 다시 악보를 덮기도 했죠. 그 시절에도 나름대로 즐겁고 의미 있는 시간이었지만, 혼자 하는 연습엔 한계가 있.. 2025. 9. 11.